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UIResponder
- View Life Cycle
- IOS
- @available
- 독후감
- 스타트업주니어로살아남기
- Codegen
- Structures and Classes
- 부트캠프
- roundingMode
- human interface guidelines
- Failed to register bundle identifier
- Modality
- xcode
- delegation
- viewcontroller
- 야곰아카데미
- contentInset
- 아이폰
- 스위프트
- SWIFT
- NotificationCenter
- Navigation
- 독서후기
- NumberFormatter
- Mock
- 책후기
- mvvm
- SWIFTUI
- Info.plist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145)
호댕의 iOS 개발

오늘은 구조체와 클래스의 차이와 Singleton 위주로 학습을 진행했다. 처음 공식문서를 통해 접했을 때는 정확히 이해가 가지 않았지만 계속 반복해서 보며 조금씩 이해를 하고 있다. 최근 들어 한번도 접해보지 못한 개념들에 대해 공부하고 적용해보며 어렵다고 생각이 드는 부분이 많은 만큼 반복해서 개념들을 이해할 수 있도록 공부해야겠다. 오늘 한 일 - Structure and Classes 공식문서 다시 보기 - Choosing Between Structures and Classes 아티클 보기 - Singleton 공식문서 보기 - 프로젝트 코드 개선 (타입의 기능 분리 및 기능 이동) # 왜 클래스에는 Memberwise Initializer가 없을까? Swift 구조체의 유용한 특징 중 하나는 바..

이번 주는 MVC, NotificationCenter, Instance, Type 등에 대해 중점적으로 배웠다. Instance와 Type, Property, Method의 경우 충분히 이해가 됐지만 MVC와 NotificationCenter는 아직 어떻게 사용하면 좋을지 정확히는 모르겠다. 이 부분은 계속 프로젝트에 접목시켜 보면서 이해할 수 있도록 해야겠다. # 이번 주 한 일 Properties 공식문서 보기 (Stored Prpperties까지) Initialization 공식문서 보기 (Default Initializers까지) Properties 공식문서 보기 Structures and Classes 공식문서 보기 Access Control 공식문서 보기 Choosing Between Stru..

오늘 한 일 Swift Properties 공식문서 보기 (Stored Properties까지) Initialization 공식문서 보기 (Default Initializers까지) Choosing Between Structures and Classes 공식문서 보기 야곰 아카데미 프로젝트 시작 및 설계 MVC 패턴 공부 디자인 패턴과 아키텍처 공부 오늘 새롭게 안 내용 # Int 타입에 다른 숫자를 넣으면 사용하는 비트 수가 달라지나? 만약 Int 타입으로 1과 100,000,000을 넣으면 사용하는 비트 수는 과연 달라질까? 내가 오늘 찾은 답은 `아니다`이다. 일단 Int도 저장할 수 있는 정수 범위에 따라 나눌 수 있다. Int8: -128 ~ 127 Int16: -32768 ~ 32767 Int..

아래 내용은 애플에서 제공한 Human Interface Guidelines를 보고 의역 및 정리한 내용입니다. # iOS가 다른 플랫폼과 차별화된 주요한 3가지 Themes 명확성 (Clarity) 시스템 전반에 걸쳐 텍스트는 전부 읽기 좋은 사이즈이고, 아이콘은 정확하고 뚜렷하다. 기능에 대해 정확한 focus가 있을 때 좋은 디자인이 나올 수 있다. Negative Space, 색, 폰트, 이미지, UI 모두 중요한 내용을 미묘하게 강조하고 상호작용을 전달한다. 존중 (Deference) 내가 이해했을 때 iOS에서 Deference란 사용자가 콘텐츠를 이해하기 쉽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고 생각함. 부드러운 모션과 선명하고, 아름다운 인터페이스는 사람들이 콘텐츠를 이해하고 상호작용하는데 도움이 된다..

해당 글은 [Swift 공식문서 - Structures and Classes]를 읽고 작성한 내용입니다. Class와 Structure는 코드의 building block이 되는 유연한 범용 구조이다. 상수, 변수, 함수를 선언하는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구조체와 클래스를 정의할 수 있다. 그렇다면 Class와 Structure의 공통점과 차이점은 무엇일까? Class와 Structure의 공통점 값을 저장하는 프로퍼티를 정의할 수 있다. 기능을 제공하는 메소드를 정의할 수 있다. Subscript 구문을 사용해서 값에 접근할 수 있도록 Subscript를 정의할 수 있다. Initializer를 정의할 수 있다. 기본 기능 이상으로 기능을 확장할 수 있다. 특정 종류의 기능을 제공하는 프로토콜을 준수한다..

평소 Optional 값은 풀기 귀찮은 값 정도로 생각하고 있었다. 왜 Optional 값을 사용해야 하는지 깊은 고민을 해보지 못했다. 그래서 이런 Optional 값에 대해 조금 더 이해를 해보고자 Swift Programming Language와 Apple Developer Document에서 Optional 관련 내용을 찾아봤다. Swift Programming Language를 보면 optional을 다음과 같은 경우에 사용한다고 말해주고 있다. “You use optionals in situations where a value may be absent.” The Basics — The Swift Programming Language (Swift 5.5) The Basics Swift is a ..

이 책은 스타트업에 처음 입사하는 주니어를 대상으로 한 일종의 안내서이다. (물론 주니어를 위한 책이긴 하나 본인이 부족함을 느끼고 있다면 어느 누구도 읽으면 좋을 책이다) 물론 나는 이 책을 스타트업에 인턴으로 입사하고 4개월 차에 읽긴 했지만, 이 책을 하나의 온보딩 장치로 사용해도 충분하다고 생각한다. 이 책을 읽으면서 물론 스스로 잘 적용했던 부분도 있었지만, 내가 잘 적용해보지 못했던 부분도 있었다. 따라서 이런 부분들을 정리해보며 글을 써보려고 한다. 여기서 가장 인상깊었던 글은 바로 이 것이다. 스스로 번아웃 탈출하는 법, 회사의 밸류 체인 파악하기 스타트업 주니어로 살아남기, p/92 회사가 가치를 만들어 내기 위해 어떤 역할이 필요하고, 내가 어떤 역할로 기여하고 있는지 이해한다면 마음가..

사실 이 책은 현재 MZ세대나 현재 상황에는 맞지 않는 책일수도 있다. 유튜브 면접왕 이형을 통해 이 책을 처음 알게 되었고 항상 추천해주신? 책이었기 때문에 한번쯤 읽어봐야지 하다가 읽게 되었다. 밥을 빨리 먹는 사람을 채용하고, 주말 근무 등 초과 근무를 시키고, 직원들에게 혼을 내야 한다고 말하는 이 책은 확실히 현재 직장인이나 취준생들이 불합리하다고 느낄만한 부분이 존재한다. 하지만 일본 전산이라는 회사가 불황기에도 불구하고 성공한 회사이며 많은 회사의 M&A를 성공적으로 이끌어낸 회사임은 사실이다. 따라서 나도 MZ세대이고 '이 정도까지 해야할까?' 라고 생각하는 부분이 있었지만 이 책이 주는 인사이트는 분명 존재한다. 그럼 이 책이 현대의 우리에게 주는 인사이트는 무엇일까? ..